특별전시
특별전시
조선왕실 아기씨의 탄생
-
전시기간
2018/06/27~2018/09/02
-
전시장소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 Ⅰ·Ⅱ
조선왕실에서 새 생명의 탄생은 왕실 가족을 넘어 온 나라의 기쁨이었다. 아기씨를 바라는 기원에서부터 태교, 출산, 양육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정성껏 준비하였고 아기씨의 탄생과 관련된 모든 것을 소중하게 여겼다. 특히 아기씨에게 생명의 기운을 불어넣고 성장하게 한 태胎는 출산 후에도 함부로 하지 않고 귀하게 다루었다. 조선왕실에서는 아기씨 앞날에 복과 건강을 기원하며 태를 씻어 항아리에 보관하였다가 땅의 기운이 좋은 곳에 태실을 만들어 묻는 안태安胎의례가 규범화되었다. 특히 왕위를 이을 원자나 원손의 태실胎室은 전국에서 가장 좋은 일등지一等地에 만들어졌고 후일 아기씨가 왕이 되면 태실에 석물을 더하여 위엄을 갖추는 가봉加封절차가 진행되었다. 현대에 태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생명의 탄생은 우리의 미래와 닿아 있기에 출산과 관련된 일은 여전히 사회적인 관심과 주목을 받는다. 생명과 그 근원인 태를 각별하게 대하였던 조선왕실의 출산과 안태문화를 소개하는 이번 전시가 생명 탄생의 귀중함에 대해 생각해보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종사지경螽斯之慶, 왕실의 번영을 바라다
Wishing for the Prosperity of the Royal Household
‘종사螽斯’는 베짱이 과의 곤충을 뜻하며, 부부의 화합과 자손의 번창을 상징하였다. 조선왕실에서 자손의 탄생은 다산을 상징하는 ‘종사지경螽斯之慶’으로 표현되었는데, 나라의 경사를 뜻하는 ‘종사지경宗社之慶’과 그 뜻이 상통하였다. 조선왕실에서는 왕실 여성의 임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였고, 왕손을 잉태한 후에는 태교와 출산에 정성과 예를 다하여 산모와 아이의 건강과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였다.
고고지성呱呱之聲, 첫 울음이 울려퍼지다
The First Cry of a Royal Baby
조선왕실의 출산문화는 출산시점을 기준으로 산전의례産前儀禮, 산후의례産後儀禮로 나눌 수 있다. 산전의례에는 왕실의 자녀기원, 임신과 태교, 출산 전 준비과정, 출산 등이 속하며, 산후의례에는 출산 후 삼일, 초칠일, 삼칠일, 백일, 첫돌 등 아기씨 탄생 후 특별한 시기마다 행하는 의례가 속한다. 왕실의 출산의례는 산모의 안전한 출산과 신생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엄중한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좋은 땅에, 태실을 만들다
Building Placenta Chambers in Propitious Sites
조선 왕실에서는 태어난 아기씨의 태를 길지吉地에 태실을 만들어 안태安胎하였다. 왕위를 계승할 원자元子와 원손元孫의 태실은 길지 중에서도 1등 태봉지에 태실을 만들었고 태실의 주인공이 왕위에 오르면 가봉加封이라는 절차를 통해 태실에 석물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왕손의 태를 묻은 지역에는 백성들이 거주하거나 농사를 지을 수 없었으며, 태실의 석물이 파손되면 일정한 법식에 따라 개수改修하였다.
태항아리, 생명을 품다
Placenta Jars: The Vessel of Life
왕실 가족의 태를 담는 태항아리는 세종世宗(1397-1450) 대부터 성종成宗(1457-1494) 이전까지 분청사기와 도기 등이 함께 사용되다가 점차 백자로 바뀌게 된다. 백자 태항아리는 의례용으로 사용되었던 기물이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형태가 크게 변화하지는 않았지만, 조선 말기까지 시기에 따라 기형의 변화를 보인다.
1차
2018.7.26.(목) 14:00-17:00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
조선왕실 출산과 태胎의 의미┃신병주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17세기 중엽 조선백자 태항아리의 편년 및 제작양상┃김경중 (경기도자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왕실 태항아리┃백은경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2차
2018.8.9.(목) 14:00-17:00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
조선왕실의 장태문화와 태실 관련 회화자료┃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장)
조선시대 국왕의 탄생이야기┃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선시대 왕실의 안태와 가봉 의식┃이욱(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