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숭정후오경진증광별시사마방목

崇禎後五庚辰增廣別試司馬榜目

󰡔숭정후경진증광별시사마방목(崇禎紀元後五庚辰增廣別試司馬榜目)󰡕은 명나라 숭정제 기원(紀元) 후 다섯 번째 경진년인 1880(고종 17)에 설행된 증광시의 사마방목이다. 증광시란 나라에 특별히 경사가 있을 때 설행된 시험으로, 권수제에 기록된 王世子痘候平復를 통해 왕세자 순종이 두후(痘候)를 회복한 것을 기념하여 치러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책은권수에서 시험 설행과 관련하여 1879(己卯) 1228일부터 1880(庚辰) 1129일 사이에 예조(禮曹)와 의정부(議政府)에서 올린 초기(草記) 및 전교를 수록하고 있다뒤이어 시관의 명단, 생원시와 진사시의 입격자 명단, 연벽(聯璧), 초시 및 복시의 시행 날짜와 시제, 경외입격수(京外入格數), 간행기 순으로 시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방중색장(榜中色掌), 은문색장(恩門色掌), 수권색장(收券色掌), 공포색장(貢布色掌), 제마수(齊馬首) 등은방회가 결성되지 않아 명단이 빠져 있다.[上因榜會不成並闕焉] 그 밖에 공도회(公都會), 승보시(升補試) 등 각종 초시격의 시험


합격자와 형제가 모두 합격했음을 의미하는 연벽, 70대 이상의 노령 합격자의 경우 노() 등 특이 사항을 명단 위에 세주로 기록해 주었다.

 

시험의 초시는 418, 복시는 611일부터 시작되어 616일에 합격자를 발표[出榜]하고 최종 합격 증서를 주는 의식인 방방의(放榜儀)81일 오시(午時, 11에서 오후 1)에 인정전(仁政殿)에서 이루어졌다. 19세기 초반 방방의가 주로 묘시(卯時, 오전 5시 반에서 6시 반)에 거행되었으며, 19세기 중반 이후 손시(巽時, 오전 8시 반에서 9시 반)에 거행된 기록이 있는데 이 때에는 더 늦은 시각인 오시가 되어서야 방방의를 치뤘다.

 

시관은 의정부우참찬(議政府右參贊) 홍종운(洪鍾雲)1소와 2소에 총 12명이 동원되었으며, 생원시에는 장원 서주은(徐周殷) 167명이, 진사시에는 장원 심익택(沈翼澤) 238명이 합격하였다. 명단에는 자신의 이름 밑에 생년과 자()를 세주로 기록하였으며, 시험 장소와 응시 과목, 본관과 거주지, 아버지의 관직과 이름, 부모의 구존(俱存) 여부, 형제 사항 등이 적혀 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과거의 응시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와 맞물려 본래의 합격 정원 또한 100여명을 훨씬 상회함을 볼 수 있다. 이는 정기 시험인 식년시보다 특별 시험인 증광시에서 합격자의 증가폭이 더욱 큼이 확인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방방의의 거행 시간이 늦어지는 것 또한 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험은 생원시와 진사시가 이틀의 간격을 두고 각 1,2소에서 설행되었다. 진사시의 복시 일소에서는 부() ‘五福以攸好德爲根本’, () ‘以無疆之福祝其子孫(압운 )’가 출제되었다. 생원시의 복시 일소에서는 사서의(四書疑)에서 問子曰,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 知與不知同歸於知, 何歟? 顏子之知十, 子貢之知二, 皆以知爲知, 而至子路以不知爲知, 何歟?’, 오경의(五經義)에서는 시의(詩義)에서 緜緜瓜瓞가 시제로 출제되었다.

 

권말에는 辛巳季夏恩門活印庫直洪箕煥 이라는 간기가 있어, 본 방목이 시험 설행 이듬해인 1881(고종18) 6월에 교서관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은문활인고직(恩門活印庫直) 홍기환(洪箕煥)’이라고 기록하였는데, 은문활인고직이란 방목을 간행하는 조직인 은문소(恩門所)에서 인쇄 작업을 담당했던 고직을 의미한다. 동방(同榜) 합격자는 아니지만 방목 간행 비용을 수합하여 행정적인 실무를 담당한 관리로 추정된다.

 

 

본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기호 : B13LB-1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소장기호 : 1654) 등에도 소장되어 있다. 과거 시험이 폐지되기 직전인 19세기 후반의 전형적인 형태를 지닌 방목으로, 방방의를 거행하는 시각이 오시로 늦추어진 점, 소과의 합격 정원이 본래 100명에서 대폭 늘어난 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변천해 가는 과시 제도의 실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목차

 

- 禮曹草記, 傳敎, 議政府草記

- 恩門

- 生員試

- 進士試

 

- 附錄(聯璧, 初試, 會試, 生進京外入格數, 刊記)

관련정보